[건강 정보]
숙취에 좋은 울금. 잦은 술자리로 건강이 걱정되시는 분들에게 |
---|
Date : 2019-11-06
Name : 쇼우와
Hits : 1092
|
울금
울금은 커큐민이라고 불리우는 황색색소를 주성분으로 미네럴과 식물섬유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줄기뿌리로 옛부터 사용되어 져 왔습니다 그 종류는 50종 이상이나 되어 일본에서는 [가을 울금][봄 울금]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특히 일본 유수의 장수마을 오키나와현에서는 [우친-우콘]이라고 불리워지며 남녀노소 애용하고 있스빈다. 별명으로는 [타멜릭]라고 불려지며, 여러분들이 좋아하시는 카레, 단무지, 피클등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카레의 건강 파워는 타멜릭을 포함해 여러가지 스파이스를 섭취할수 있다고 합니다. 울금의 종류 울금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만 종류에 따라 커큐민의 함유량이 틀립니다 [가을 울금] [봄 울금] [자색 울금] [봄 울금] 정식 명칭은 [강황]이라고 합니다. 위장에 좋으며 항암작용이 있다고 하는 정유(精油)성분을 [가을 울금]보다 약 6배정도 함유하고 있으며 동시에 칼슘, 칼륨 등의 미네럴 성분도 약 6배 이상 함유하고 있습니다 식품학적으로 봄 울금- 강황 은 뜨거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가을 울금은 찬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을 울금과 같이 간장에 좋습니다. 다른 내장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고 싶으신 경우에는 봄울금-강황이 좋습니다. [자색 울금] [자색 울금]의 정식명칭은 아출(莪朮)입니다. [자색 울금]은 커큐민이 포함하지 않습니다만, 피로리균 제거 작용이 강합니다. 요통, 어깨결림, 여드름, 기미 등에 효과가 있으며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의 주요원인인 피로리균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가을 울금] [가을 울금]은 [봄 울금]에 비해 커큐민의 함유량이 10배정도 높습니다. 간장기능 강화나 숙취에는 가장 효과가 있는 울금입니다. 여기서 설명하는 울금은 일반적으로 [가을 울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울금제품을 드실 때에는 울금의 함유량을 확인 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울금의 효능 1.숙취 숙취에 좋은 울금 왜 숙취에 좋을 까요? 우선 술을 마시면 체내에서 알콜을 분해하려고 [아세트알데히드]라는 상당히 강한 유해물질이 발생합니다 아세트알데히드는 알콜 그 자체보다 10배 이상 독성이 강해 중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이 아세트알데히드의 혈중 농도를 억제하는 것이 울금입니다. 알콜 혈중 농도가 급격히 올라가면 술에 취해 토하거나 일어설 수 없게 됩니다. 그러므로 울금으로 혈중 농도를 억제하면 숙취는 물론 술에 취하거나 구토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식전 30분 전에 울금이 함유된 커큐민 성분을 마신 사람은 아세트알데히드 혈중 농도의 상승을 억제했다라는 연구결과도 있으므로 효과와 확실합니다 2.생활습관병 간질환, 심근경색, 심비대, 신장질환, 당뇨병, 동맥경화, 메터보릭신드롬 3.암 구강암, 신장암, 취장암, 대장암, 유방암, 피부암 4.염증 알레르기, 위궤양, 염증성장염, 궤양성대장염, 관절염, 류마티스 등 5.그외 우울증, 근육피로, 골다공증 울금의 부작용 ●간기능 장애가 있으신 분은 대량섭취는 좋지 않습니다. 울금에는 같은 무게에서 소 간에 상당하는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 C형만성감염이나 비 알콜성 지방성간염 등을 앓고 계시는 분의 간장에 이 철분이 과잉으로 축적되는 경우 병상이 악화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상약]에 위치하는 울금 중국에서는 한방약이나 생약에 대해 [상약], [중약], [하약]의 3가지 랭크로 크게 나누어 [상약]이란 소위 불로장생약으로 알려진 부작용이 없고 계속 복용하여도 문제가 없는 약을 가르킵니다 울금은 중국에서 [상약]으로 분류되며 그외 상약으로 분류되는 것은 [고려인삼],[영지]등이 있습니다. ●적당량을 섭취하면 괜찮습니다 울금의 대사 물질은 간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과잉섭취로 기인되는 간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보고 되고 있습니다 어떤 좋은 약이라고 과잉섭취는 좋지 않지만 적당량을 지키면 부작용에 대한 걱정은 필요없다고 생각됩니다. |
Content |
Name |
Date |
Hits |
---|---|---|---|
![]() |
2019-11-06 |
1092 |